저널을 선택하여 그 안에 실린 논문 중 하나를 살펴봅니다. 그리고, 본문을 읽지 않고, 그 논문 안에 있는 그림(Figure) 중 하나를 확인한 후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세요. “이 그림에서 얻은 결론이 무엇인가?” 이 질문에 답하실 수 있으셨나요? 그림을 바탕으로, 해당 논문의 결론이 무엇인지 추측할 수 있으셨나요? 그럴 수 있다면 그 그림은 논문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잘 전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
이와 같이, 그림은 논문의 가독성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. 하지만, 논문의 데이터와 결론을 효과적으로 잘 표현하는 그림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. 또한, 독자들에게 논문에 포함된 그림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우리는 고민해야 합니다.
그림과 표(Table)가 단지 논문을 서포트하는 보충 자료가 되어서는 안됩니다. 그림과 표 그 자체가 논문의 내용을 어느 정도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. 독자는 본문을 읽지 않고, 그림과 그림의 제목 및 범례(Legend)를 보고도 논문의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.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논문을 읽기 전에 논문 안에 있는 그림과 표만 훑어 보고 나머지 부분을 읽을지 말지를 결정하기도 합니다. 따라서, 자신의 논문의 그림 및 범례가 독립적으로도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, 에세이리뷰는 저널 투고를 위한 효과적인 범례 작성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팁과 꼭 기억해야할 점들을 정리해드릴 것입니다. 추후에 쉽게 참고하실 수 있도록, 작성 요령을 다음 다섯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했습니다: 범례의 기본 구조; 제목, 재료 및 방법, 결과, 정의. 그림을 만들 때 다음 각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.
효과적인 그림 제목(Figure Title)과 범례(Legend) 작성을 위한 17가지 팁
논문 그림의 범례를 작성할 때, 다음 요령과 타겟 저널의 가이드라인을 잘 파악하면 논문의 전달력도 향상시키고 게재 성공률도 높일 수 있습니다!
범례 측 | Tips |
---|---|
기본 구조(Overall) |
|
제목(Title) |
|
재료 및 방법(Materials and Methods) |
|
결과(Results) |
|
정의(Definitions) |
|
English, 简体中文, 繁體中文, Türkçe 버젼도 이용 가능합니다.
AI 번역기를 활용하면 비영어권 연구자들도 효과적인 그림 제목(figure title)과 범례(legend)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국제 학술지 제출 시 언어적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또한, AI 패러프레이징 도구를 사용하면 범례(figure legend)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고 간결하게 다듬을 수 있어, 독자가 연구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▶ 글 작성 후 전문가의 검토가 필요하시다면, 언제든지 저희 영문교정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!